
2007년 문화관광부 교양도서에 선정되기도 하였고 그 이후 용기를 얻어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중국을 드나들며 자료를 보충해 오고 있었다. 본 책에서 바뀐 내용은 없으나 사진의 오류를 정정하였고[사진 - 백계관 사진 교체] 같은 사진이라도 보다 정확하고 정교한 사진으로 대체하여 차의 구분을 도왔다.
차의 분류에 따른 발효도는 현재 그러한 구분 자체가 모호하기(기준이 없기)때문에 몇 %를 정할 수 없다는 것을 중국의 작업장을 재차 방문하여 확인한 결과 발효정도의 구분은 삭제하였다 .
또 중국의 언어사용에서 우리식 표현이 모호한 경우를 모두 찾아 좀 더 정확한 우리식 표기와 서술로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부족한 내용은 좀 더 풍성히 갖추고 중국차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현재 출판사에서 작업을 진행중에 있으며 흑차 부분에서 보이 긴차, 복전차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가 보완 되어 나오게 된다.
이 책에서 무이암차 가운데 백계관의 사진 오류를 처음 확인하고 알려주신 분은 경기도 광덕사 주지 경원스님이었다. 원래를 사진 작업이 잘 되어있었는데 흑백으로 된 교정지를 보면서 미쳐 확인하지 못하고 무이암차류에서 다른 사진이 나오게 되었다. 인터넷 상에서 보이차의 청병이나 숙병에 대한 여러 가지 답론이 있지만 아직까지 보이청병은 녹차로 분류하기로 하였다. 강산녹모단을 비롯한 남경우화차, 황산모봉, 신양모첨 등의 여러 사진은 교체하여 학술적인 차의 품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rackback from: 복전차(茯磚茶)의 중요한 사진 자료
답글삭제필자의 책 가운데 <사진으로보는 중국의 차(일명/중국차 도감)>는 2006년 초판 발행이후 3쇄가 인쇄되고, 4년만에 개정판을 준비하면서 처음부터 없었던 내용으로 추가되는 차가 있다. 그것은 “복전차”다. 그동안 복전차 관련하며 많은 자료를 찾았고 이번에 새로운 차를 확인하면서 복전차의 자료 사진 한 장을 공개한다. 이 사진과 비슷한 차를 많이 보았고 마실 기회도 여러번 있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1953년 사천성에서 만든 이 차를 올리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