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티 타임은 대부분 커피 마시는 시간을 말한다. 직장에서 업무중에 차 한 잔마시고 합시다 하면, 커피 아니면 ‘현미녹차’정도이다 이것도 10년전에는 율무차가 추가된 적이 있었다. 요즘은 자동판매기에서 율무차가 사라졌다. 유럽에서는 ‘티 타임’하면 홍차로 인식된다. 나는 중국행 비행기를 많이 타고 다녔다.
[사진, 대만 당성 주인이 직접내는 에스프레소 커피] 비행기 안에서도 ‘티(tea)'는 홍차로 통한다. 얼마전 조선남다로에서 우리나라 전통차의 맥을 거론하면서 하동 녹차를 홍차에서 출발점을 찾고 있었다. 그 홍차와 유럽에서 즐겨마시는 홍차의 수준은 비교할 수 없는 맛이다. 근데 지금에 와서 홍차 운운하는 것은 뭔가 세계속에서 우리의 차 산업을 이야기하는 것이 더 멋있고 큰 뜻을 품은 사람들의 깊은 이야기로 만들고 싶어서인지는 모를 일이다.
최근 나는 한국에서 홍차 보급이 잘 안되는 이유 http://seoku.com/193에서 댓글로 나의 글에 심한 이견을 받은 적이 있다. 그래서 댓글에 답변을 달려고 했는데 다음날 저녁에 지워져서 그 글을 원본 아래에 추가하여 나의 마음을 전했다.
부산에서 서울행 고속버스를 타고 편의점에서 맥심 ESPRESSO 에서 나온 티.오.피하나 사니까 이벤트기간이라서 하나더 끼워주는 것이다. 평소에 마시는 기분과는 다르게 고속버스에서 시원한 티오피를 한 병마시면서 커피는 다양하게 발전하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제품이 개발되는데 유럽에서 차의 대명사라고 하는 홍차는 우리나라에서 소비자의 마음 속 깊이 파고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잠시 해보았다.
이 문제는 차(茶, TEA) 라고 할 때, 우려마시는 대부분의 차와 같은 맥락이다. 커피는 홍차보다 어떤 부분에서 특별히 다른가, 맛과 향기에서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아니면 지극히 기호품인 것을 상품성으로만 극대화시킨 결과인가?
커피와 차의 광(狂)이던 ‘걸리버 여행기’(1726)의 작가 조너선 스위프트가 늘 차를 함께 마셨던 여인에게 보낸 편지의 한 구절을 이광주 교수의 글에서 인용하면,
“차는 우리들을 진지하며 매력있고 철학적으로 만들어줍니다. 나는 당신이 교양인으로, 좋은 어머니로, 완벽한 주부로, 그리고 훌륭한 티 마니아(Tea Mania)가 되기를 바랍니다.…내 최고의 처세훈(訓)은 차와 커피를 마시는 일입니다.…좋은 인생이란 재산과 건강, 그리고 차와 커피를 마시는 일입니다.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리라 믿습니다.”
당시에 차는 홍차를 이야기 한 것이고 편지의 내용으로는 홍차와 커피를 함께 한 말이다. 즉 홍차를 즐기는 사람은 커피도 즐기는 편이다. 동양인 가운데 대만에서 차의 매니아가 커피를 지독하게 즐기는 분이 있다. 차도구로서 고급품을 생산해 내는 당성 주인이다.

지난해 6월 타이페이에서 시골로 이사간 집을 찾아갔을 때 예전과 마찬가지로 차를 마시다가 손님에게 꼭 물어본다, 내가 만든 커피 한 잔 하실래요, YES라고 하면 신이난다. 앉은자리에서 바로 뒤에 있는 커피 믹스기에 원두를 넣는다. 차 매니아라고 하면 커피도 즐길 줄 알아야야 한다고 한다. 손수 준비해주시는 커피는 아주 진한 에스프레소 한 잔이다.
그날 즉석에서 만든 6잔의 커피, 모든 사람들이 커피의 또다른 향을 즐긴 시간이다. 함께 한 사람들은 모두 차 매니아인데도 불구하고 커피를 좋아한 사람들이다.
난, 이런 특이한 분들을 국내외에서 만나 차를 나누다 보니까 자연히 홍차를 즐기는 방식이 달라지는 것 같다. 진하게 우려마시는 운남전홍 같은 차가 좋아서 인도 홍차가운데서도 파쇄하지 않은 품질 좋은 홍차를 진하게 우려마시게 되는 것 같다. 카페인을 걱정하는 분들도 있지만 난 한 번도 그러한 걱정을 해본적은 없다.
---------------------------------------------
한국에서 홍차 보급이 잘 안되는 이유 http://www.seoku.com/193 추가 글 보기

타이페이에서 당성 가게를 찾아간 첫 느낌은 상당이 충격적이었습니다. 한국과 일본에서 그렇게 유명한 당성이 이렇게 규모가 작은 가게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그리고 1시간 정도 영감님과 대화를 하면서 참 멋진 영감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 때, 우리 집 커피 한 잔 드릴까요 했습니다. 차전문점 그것도 중국 차도구에 관한 고급품을 취급하는 곳에서 커피 마셔보겠냐는 말씀이 순간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우리 마누라가 옆에서 눈이 번쩍 뜨이는 것 같아서 좋다고 하자, 영감님 담배를 물고 돌아서서 믹스기에 여러 종류의 재료를 넣고 씽 - 갈고서 만들어 주는 에소프레스 커피 독특한 향기를 가진 것으로 맛나게 마셨고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찻집에서 커피 맛나게 멋있게 마신 곳이 처음이며. 차도구 몇가지 구입하고 나올 때, 전형적인 중국 상인의 기질을 보면서 하나도 작은 집으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곳은 뭔가 꽉찬 곳이고, 간혹 원두커피 이야기 할 때는 당성 가게를 이야기했는데 멀리 이사갔다고 하니까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늘 대만을 생각할 때는 그 때의 멋진 당성 영감님을 생각하는데 잠시 그분의 채취를 느끼고 갑니다.
답글삭제석우연담에 대한 소문을 듣고 왔는데, 이곳에서 국내외 소식을 접할 수 있어서 감사한 마음도 남김니다.